전체 글(864)
-
20220311-반야심경
이 책을 처음 보게 된 것은 1986년 봄이었다. 한해 휴학 후 복학한 나에게 의성군 탑골 출신 후배가 읽어 보라며 준 책이 반야심경이었다. 그때 후배가 준 반야심경의 저자는 오쇼 라즈니쉬. 나중에 책에서 말한 그의 자유로운 정신과는 다른 미국에서의 그의 이중적인 실제 삶의 모습을 알았을 때에는 배신감 같은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 하지만 책을 처음 접했을 당시에는 정신적으로 종교적으로 방황 상태에 있는 나에게 이 책은 새로운 시각을 제시해 주었다. 무엇에도 얽매이지 않는 자유 같은... 알듯 모를 듯한 깨달음 같은... 그러면서 나를 둘러싼 이 물질세계가 결코 무한한 것도 의미 있는 것도 아니라는... 그러므로 어디에도 구속받지 말고 고통받지 말라고... 대학시절 하야카와 교수의..
2022.08.22 -
20220219-그리스인이야기
오늘날 모든 현대 국가가 지향하는 정치체제는 민주주의인데 그 시작은 그리스다. 그리스 아테네의 페리클레스처럼 실제적으로는 독재자라 하더라도 그 형식만큼은 민주주의를 지향한다고 주장할 만큼 민주정은 현대를 살아가는 대중에게 어필하는 정치체제라고 하겠다. 당시 선진 문명권이었던 이집트나 페르시아나 여타 다른 지역이 모두 왕정이었음을 생각할 때 시민 모두의 토론과 투표로 도시국가의 운명을 결정했다는 사실은 지금의 관점으로 보아서도 현대적이다. 물론 여기에서 시민이란 성인 남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여자나 어린 아이나 노예나 외국인은 포함되지 않는 것이 한계이지만... 물론 아테네의 영원한 숙적이었던 스파르타는 끝까지 왕정이었으나 내용을 보면 전제왕권을 행사한 군주라기보다는 오늘날의 입헌군주제와 비슷해 보인다. 지..
2022.08.22 -
20210701-한일역전
아메리카 대륙에 대한 유럽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고대 고구려, 백제, 신라의 식민지였던 일본. 역사적으로 제대로 된 중앙권력을 이루지 못했던 일본이 우리가 잠시 변화를 거부한 틈을 타 거꾸로 모국을 식민지화했었다. 이후 100여 년이 지난 지금, 4차 산업혁명인 디지털 혁명 시기에 이르러 그동안의 열패를 뒤집는 상황이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 대처하는 정부의 모습에서 그 대비가 더욱 극적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를 잘 설파한 책이 '한일 역전'이다. 막연한 국뽕이 아니라 수치로 결과로 그 성과를 확인할 수 있게 해 주는 책이다.
2022.08.22 -
20210606-조국의시간
토요일 책을 받고 하루 묵힌 오늘 책장을 열었습니다. 서문을 다 읽은 순간... 말할 수 없는 슬픔이 솟아 눈가를 적십니다. 아마도 본문을 읽는 내내 고통과 슬픔과 분노의 감정이 이어질 것 같습니다.
2022.08.21 -
20220120-바다의 도시 이야기
AD 452년 ~ AD 1797년. 무려 1300여 년 동안이나 동일한 공화국 국체를 유지하며 중세 유럽을 풍미한 도시국가 베네치아. 이 책은 베네치아 1345년의 역사를 관통하며 흘러온 인간의 역사를 서술하고 있다. 시오노 나나미 류의 역사서를 좋지 않게 평하는 사람들도 있다고 하는데 나에게는 원전을 읽는 부담 없이 한 나라의 역사를 대략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 주어 좋았다. 베네치아의 역사는 훈족 아틸라의 내습으로 로마제국이 위기에 빠졌을 때부터 시작한다. 이탈리아 북부에 있어 제일 먼저 피습을 받았을 당시 주민들이 마을을 지도하던 사제의 지휘로 키오자의 뻘 지대로 살기 위해 도망쳐 마을을 세운 것이 베네치아의 시작이었다. 이후 지금의 산타마리아 역 인근 뻘지대로 다시 이주하여 본격적인 베네치아 공..
2022.08.21 -
20220118-총균쇠
군포시 중앙도서관에서 도서대출증을 만든 후 처음으로 빌린 책이 총균쇠이다. 역사를 좋아하는 나는 그동안 여러 역사 관련 서적을 읽었다. 이 책도 몇 해 전에 이미 한 번 읽은 적이 있었지만 다시 한번 정독하고 싶어 빌렸다. 사실 이 책을 읽기 전까지 나는 백인에 의한 남북 아메리카나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의 점령에서 빚어진 원주민 학살 사건에 대해 비판적인 생각이 많았었다.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그런 내 생각이 잘못된 결론이었음을 알게 되었다. 이 책 초반부에 저자는 내가 그동안 알지 못했던 폴리네시안 지역의 부족 간 충돌이나 확산 과정에서의 폭력적 양상에 대해 여러 가지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같은 종족 간의 충돌 과정에서도 백인과 황인종간의 충돌 못지않은 폭력적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백인..
2022.08.21